심리검사란?
표준화된 심리검사를 통해 개인의 성격, 흥미, 적성, 잠재력 등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.
심리검사를 실시한 후, 결과에 대한 검사해석을 받게 됩니다(1회, 50분).
검사해석을 통해 자신의 이해 수준을 높여 보다 적응적이며 발전적인 대학생활을 유지해 나갈 수 있습니다.
심리검사 신청 절차
◎ 방문 신청
어떤 심리검사를 받을 수 있나요?
온/오프라인으로 실시 가능한 검사
목적 | 종류 | 알 수 있는 내용 | 소요시간 |
성격 · 대인관계 · 심리적 어려움 | 다면적 인성검사(MMPI-2) + 문장완성검사(SCT) | 우울, 의욕 저하, 불안, 죄책감, 자살 충동 등 개인의 정신건강을 진단하고 심리적 상태를 심층적으로 탐색. | 약 1시간 30분 |
성격유형검사(MBTI) | 에너지 방향 (외향/E - 내향/I), 인식 기능 (감각/S - 직관/N), 판단 기능(사고/T - 감정/F), 생활양식(판단/J - 인식/P)의 네가지 심리적 선호 경향성을 통하여 개인의 성격 유형 분류. | 약 20 ~ 30분 | |
기질 및 성격검사(TCI) | 기질과 성격을 구분하여 측정함으로써 유전과 환경의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.개인의 사고방식, 감정양식, 행동패턴, 대인관계 양상, 선호 경향 이해에 유용함. | 약 30 ~ 40분 | |
진로 · 적성 | U&I 학습유형검사 | 학습과정에서 보일 수 있는 행동 및 태도, 성격적인 특성을 알아볼 수 있으며, 진로 탐색의 기초자료 제공. | 약 20 ~ 30분 |
U&I 진로탐색검사 | 진로를 고민하는 과정에서 심리적 상태(진로성숙도)와 어떤 전공에 흥미를 보이는지, 그 흥미와 성격이 얼마나 일치하는지(진로흥미, 진로성격) 파악하여 개인에게 적합한 진로 선택을 위한 조언을 제공. | 약 20 ~ 30분 | |
적성탐색검사(Holland) | 직업과 직업적성을 6가지 유형으로 구분하여 개인의 능력, 적성, 성격 및 가치관을 고려한 흥미 영역 탐색. | 약 20 ~ 30분 |